Skip to content

원티드 프리온보딩 인턴십 - 2조 3주차 과제 제출을 위한 공간입니다.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wanted-internship-team/pre-onboarding-12th-3-2

Repository files navigation

원티드 프리온보딩 12th 2팀 3주차 과제

🤝 과제 소개 및 목적

팀원 모두가 하나의 주제의 과제를 수행한 뒤,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되는 코드(또는 기능)를 Best Practice로 선정하여 최종 결과물에 반영합니다. Best Practice를 선정하기 위해 작성한 코드를 동료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타인의 코드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좋은 코드를 만들기 위해 고민하고, 그 과정에서 팀으로 일하는 법에 익숙해집니다.
🗓️ 진행 기간: 23년 9월 5일 ~ 23년 9월 8일

※ 본 과제는 검색창 구현 + 검색어 추천 기능 구현 + 캐싱 기능 구현 프로젝트입니다.

👨‍👩‍👧‍👦 팀 정보

Team Notion


@JJineu
김현진

@devsomda
박다솜(팀장)

@mihyunLee
이미현

@devseop
이윤섭

@sjuhan123
한승주

프로젝트 소개

구현 내용

preview-image

- 질환명 검색시 API 호출 통해서 검색어 추천 기능 구현
  - 검색어가 없을 시 “검색어 없음” 표출

- API 호출별로 로컬 캐싱 구현
  - 캐싱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사용 금지(React-Query 등)
  - expire time을 구현
    
- 입력마다 API 호출하지 않도록 API 호출 횟수를 줄이는 전략 수립 및 실행
    
- API를 호출할 때 마다 `console.info("calling api")` 출력을 통해 콘솔창에서 API 호출 횟수 확인이 가능하도록 설정

- 키보드만으로 추천 검색어들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

실행 방법

// client
git clone https://github.com/wanted-internship-team/pre-onboarding-12th-3-2.git
npm install
npm start

// server
git clone https://github.com/walking-sunset/assignment-api.git
npm install
npm start

💬 프로젝트 진행 과정

※ 논의에 대한 내용은 팀 노션 페이지에서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션 바로가기

✅ Assignment 1

  • API 호출을 통한 검색어 추천 기능 구현
  • 검색어가 없을 시 “검색어 없음” 표출

🤝 논의 및 결정 사항

1. api 호출 방식: axios vs fetch

api request가 하나만 존재하고 있어, axios를 도입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팀원들의 코드를 바탕으로, axios의 interceptor를 활용하는 것이 fetch를 활용하는 것보다 가시성이 높고 비동기로직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 따라서, axios를 사용하여 api를 호출하고 응답값을 반환하였습니다.

2. api path 상수화

로컬 코드 기준, baseUrl/sick의 요청 url에서 요청 경로 상수 지정 범위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현재는 api가 하나만 존재해 상수 하나로 관리할 수도 있지만, 추후 확장 가능성을 고려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endpoint를 제외한 부분을 base url로 지정하고 endpoint를 객체화하여 분리했습니다.
export const BASE_URL = process.env.REACT_APP_API_BASE_URL;
export const API_PATH = Object.freeze({SICK: '/sick'});

3. 검색어 없음 처리 방식
▶ fetch 응답을 저장한 상태값(searchList)의 길이에 따라 메시지를 렌더링 합니다.
상태값의 길이를 반환하는 isEmptyArray 함수를 통해 길이를 확인합니다.


✅ Assignment 2

  • API 호출별로 로컬 캐싱 구현
  • expire time 구현 (선택)

🤝 논의 및 결정 사항

1. 캐시 저장소

Cache Storage, Local Storage, Session Storage 및 리액트 상태로 저장하는 것까지 다양한 선택지를 두고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유저의 저장 횟수, 서비스의 성능 등을 고려하였습니다. Local Storage, Session Storage의 경우 용량이 적으며 캐싱을 하기에 더 권장되는 Cache Storage가 있기에 후보에서 제외하였습니다. 리액트 상태 저장의 경우 프로젝트 자체가 가지게 되는 메모리 값이 커질 것이 우려되었고, Cache Storage를 이용해 외부 기억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메모리상의 이점을 가져가기로 결정했습니다.

▶ 캐시를 저장하는 함수 setToCacheStorage와 값을 가져오는 getFromCacheStorage함수를 구현하고, cache가 있을 경우 해당 데이터를 활용하고, 없는 경우에만 요청 api를 호출합니다.

// data fetch 과정
  debouncedFetchData<SickInfoList>({
    getCacheCallback: () => getFromCacheStorage(keyword),
    setCacheCallback: (data) => setToCacheStorage(keyword, data, CACHE_RESET_TIME),
    getAPICallback: () => getRecommendedWord(keyword),
    dispatchCallback: (data) => setSearchList(data),
  });

1-1. 캐시 관련 클래스 생성

▶ cacheStorage를 클래스로 정의해, 추후 재사용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하고자 했습니다. 프로젝트가 커짐에 따라 라우트를 여러개 사용하게 되면 라우트에 따라 Key 값을 분리하여 캐시 값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class CacheStorage {
  private KEY: string;
  private cachePromise: Promise<Cache>;

  constructor(KEY: string) {
    this.KEY = KEY;
    this.cachePromise = caches.open(this.KEY);
  }
  
  async put(url: string, response: Response): Promise<void> {
    const cache = await this.cachePromise;
    await cache.put(url, response);
  }

  async get(url: string): Promise<Response | undefined> {
    const cache = await this.cachePromise;
    return await cache.match(url);
  }
}

1-2. 데이터 저장 함수의 기능 확장(캐싱 기능 추가)

▶ 필요 데이터를 상태값에 저장하는 setData함수에 캐싱 기능을 함께 저장했습니다. 다양한 로컬 캐싱 함수를 적용할 수 있도록 setData의 매개변수에 캐싱함수를 추가했습니다.

export const setData = async <T>({
  getCacheCallback, // 캐시 값을 가져오는 callback
  setCacheCallback, // 캐시 값을 설정하는 callback
  getAPICallback,
  dispatchCallback,
}: IsetDataProps<T>) => {
  const cacheResponse = await getCacheCallback();
  if (!isEmptyArray(cacheResponse)) {
    dispatchCallback(cacheResponse);
  } else {
    try {
      const response = await getAPICallback();
      await setCacheCallback(response);
      dispatchCallback(response);
    } catch (error) {
      console.error('Error fetching data:', error);
    }
  }
};

2. 캐시 만료 시간(expire time) 설정

캐시 용량이 초과될 때 발생하는 예외사항을 방지하고, 서버의 데이터와 로컬의 데이터가 동기화 및 업데이트 되어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expire time을 설정하기로 했습니다. 저장되는 시점의 시간 값을 함께 저장하고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이상 차이가 나면 제거하는 로직을 직접 구현하는 방법Cache-Control options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Cache-Control의 경우 "Cache-Control": "max-age=1, stale-while-revalidate=59"의 옵션으로 설정하여, 자동으로 캐시가 만료되어 새로 데이터를 캐시에 저장할 것을 기대했지만 실행되지 않았고, 직접 삭제 로직을 구현해 삭제 로직을 명확히 파악하고자 했습니다.

▶expire-time과 현재 시간 값(timestamp)을 갖는 객체를 만들어, cacheStorage 에 저장합니다. 이후, cacheStorage에 저장된 값을 바탕으로 응답된 데이터에서 현재 시간에서 timestamp 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expire-time을 초과하는지 확인합니다.

const currentTime = new Date().getTime();
const cachedTime = res.timestamp;
const timeDiff = currentTime - cachedTime;

✅ Assignment 3

  • 입력마다 API 호출하지 않도록 API 호출 횟수를 줄이는 전략 수립 및 실행

🤝 논의 및 결정 사항

1. API 호출 횟수 감소 방식: Debouncing ▶ 기존 로직에서는, ‘담낭’ 키워드를 입력했을 때 ‘ㄷ’, ‘다’, ‘담’, ‘담ㄴ’, ‘담나’, ‘담낭’ 총 6회의 API가 호출됩니다. 관련해 throttling과 debouncing 중 마지막 키워드가 검색 요청 내용이라는 점에서, 더욱 적합한 debouncing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debounce의 delay 시간의 경우 한 단어를 바로 작성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보다 약간의 여유 시간을 두어 1초로 설정했습니다.

2. Debouncing의 기준: 값 vs 함수

Debouncing의 기준을 값과 함수로 하는 것의 성능상 차이가 없어, 스타일과 선호의 차이에 따라 결정을 하기로 했습니다. 비슷한 로직들을 분리할 때 주로 함수 형태로 분리하였기에, debouncing도 함수 형태로 분리했습니다.
단, 함수로 선언하게 되면 컴포넌트 내에서 상태값(inputValue)이 변할 때마다 함수가 재생성되므로 입력 값의 횟수만큼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 이경우 useCallback으로 fetchData 함수를 감싸주어도 동일한 현상 발생)

▶ 따라서, 컴포넌트 외부에서 fetch 함수와 debounce로 만든 fetch 함수를 정의해주었습니다.

// 👍 디바운싱이 적용되어 1초마다 api 호출과 동시에 컴포넌트 리렌더링
const fetchData = async (keyword: string, setSearchList: React.Dispatch<React.SetStateAction<SickInfoList>>) => {
	  try {
	    const response = await getRecommendedWord(keyword);
	    setSearchList(response);
	  } catch (error) {
	    console.error('Error fetching data:', error);
	  }
	}

const debouncedFetchData = debounce(fetchData, 1000);

export default function Search() {
  const [searchList, setSearchList] = useState<SickInfoList>([]);
  const [inputValue, setInputValue] = useState<string>('');

  const changeHandler = (e: React.ChangeEvent<HTMLInputElement>) => {
    setInputValue(e.target.value);
    const keyword = e.target.value;

    debouncedFetchData(keyword, setSearchList);
  };
	
  return (....)
}

✅ Assignment 4

  • API를 호출할 때 마다 console.info("calling api") 출력을 통해 콘솔창에서 API 호출 횟수 확인이 가능하도록 설정

🤝 논의 및 결정 사항

1. console 출력 구현

'API를 호출할 때마다 출력을 해주어야 한다'를 팀원들과 함께 고민해보았습니다. 패칭 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콘솔에 출력을 하는 방식과,
interceptor를 사용하여 출력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였지만, 명확한 코드 호출 시점을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interceptor를 사용하여 콘솔창에 메시지를 출력해주었습니다.

▶ axios interceptor를 사용하여 콘솔창에 api 호출 횟수 출력했습니다.

export const instance = axios.create({
  baseURL: BASE_URL,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charset=UTF-8',
  },
});

instance.interceptors.request.use((config) => {
  console.info('calling api');
  return config;
});

✅ Assignment 5

  • 키보드만으로 추천 검색어들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

🤝 논의 및 결정 사항

1. 구현 방식

keydown이벤트로 키보드의 방향키를 눌렀을 때 이동을 구현했습니다. 별도의 selectedIndex상태값을 두어 selectedIndex와 검색어 아이템의 인덱스가 같을 경우, ref.current.focus()로 해당 아이템을 포커싱하여 강조하는 스타일링을 구현했습니다.

문제 사항1.
keydown 이벤트를 걸었을 때, 하단으로 인덱스 이동이 되는 것보다 스크롤이 이동되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problem1

[↑기존 화면]

solved

[↑변경 후]

▶ 키보드 이벤트가 event의 default값이 스크롤 이동이 우선되어, 이벤트 실행에 따라 e.preventDefault()를 적용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const selectListItemByKeyArrow = (e: any) => {
    if (e.nativeEvent.isComposing) return;

    switch (e.key) {
      case 'ArrowDown': {
				e.preventDefault(); // ✨ 추가하여 해결!
        const lastIndex = searchList.length - 1;
        setSelectedIndex((prev) => (prev < lastIndex ? prev + 1 : 0));
        console.log(selectedIndex);

        break;
      }
      case 'ArrowUp': {
				e.preventDefault(); // ✨ 추가하여 해결!
        (...)
      }
      default:
        break;
    }
  };

문제 사항2.
추천 검색어를 클릭했을 때 기존의 selectedIndex가 변경되지 않아 다음 포커스시 클릭한 요소의 다음이 아닌, 기존 요소 다음의 요소가 포커스 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selectedIndex를 변경하는 setSelectedIndex() 를 props로 전달받아 추천 검색어 결과를 클릭했을 때 해당 요소의 인덱스로 selectedIndex를 변경해주어 해결했습니다. setSelectedIndex를 onClick 이벤트에 바로 전달할 수도 있지만, 더 선언적인 코드를 지향하고자 resetSelectedIndex를 정의해서 핸들러로 전달했습니다.

export default function SearchResults(props: Iprops) {
  const { searchList, selectedIndex, setSelectedIndex, selectListItemByKeyArrow, inputValue } =
    props;

 // ...

  const resetSelectedIndex = (idx: number) => {
    setSelectedIndex(idx);
  };

  return (
			  // ...
        <ul>
          {isEmptyArray(searchList) ? (
            <Message>검색어 없음</Message>
          ) : (
            searchList.map((el: SickInfo, idx: number) => (
              <SearchText
                key={el.sickCd}
                ref={idx === selectedIndex ? liRef : null}
                tabIndex={selectedIndex === idx ? 0 : -1}
                onKeyDown={selectListItemByKeyArrow}
                onClick={() => resetSelectedIndex(idx)}
              >
              // ...
              </SearchText>
            ))
          )}
        </ul>
		   // ...
  );
}

🧑🏻‍💻 프로젝트 정보

프로젝트 구조

src
 ┣ apis
 ┃ ┗ instance.ts
 ┣ assets
 ┃ ┗ icon-search.svg
 ┣ components
 ┃ ┣ HighlightedText.tsx
 ┃ ┣ Search.tsx
 ┃ ┣ SearchBar.tsx
 ┃ ┗ SearchResults.tsx
 ┣ constants
 ┃ ┗ index.ts
 ┣ pages
 ┃ ┗ Main.tsx
 ┣ styles
 ┃ ┣ font.css
 ┃ ┗ GlobalStyle.js
 ┣ types
 ┃ ┗ index.ts
 ┣ utils
 ┃ ┣ cache.ts
 ┃ ┣ debounce.ts
 ┃ ┣ isEmptyArray.ts
 ┃ ┗ setData.ts
 ┣ App.tsx
 ┣ custom.d.ts
 ┗ index.tsx

폴더 구조 선정 이유

코드 리팩토링과 확장성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기능 단위로 컴포넌트를 분리했습니다.

- api, utils, components 등 기능별로 폴더를 관리했습니다.
- constants : 과제 요구 사항 관련 오타 방지 및 중복 제거와 중요한 상수 관리
- types :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interface 별도 관리, 한 파일에서만 쓰이는 인터페이스만(e.g. props) 해당 파일에서 관리

사용 라이브러리 및 기술

  • JavaScript / TypeScript / React
  • HTTP Client: axios
  • 스타일: styled-components
"dependencies": {
  "@testing-library/jest-dom": "^5.17.0",
  "@testing-library/react": "^13.4.0",
  "@testing-library/user-event": "^13.5.0",
  "@types/jest": "^27.5.2",
  "@types/node": "^16.18.48",
  "@types/react": "^18.2.21",
  "@types/react-dom": "^18.2.7",
  "axios": "^1.5.0",
  "json-server": "^0.17.3",
  "react": "^18.2.0",
  "react-dom": "^18.2.0",
  "react-router-dom": "^6.15.0",
  "react-scripts": "5.0.1",
  "typescript": "^4.9.5",
  "web-vitals": "^2.1.4"
},

"devDependencies": {
  "@babel/plugin-proposal-private-property-in-object": "^7.21.11",
  "@typescript-eslint/parser": "^5.62.0",
  "concurrently": "^8.2.1",
  "eslint-config-prettier": "^9.0.0",
  "eslint-plugin-prettier": "^5.0.0",
  "husky": "^8.0.3",
  "lint-staged": "^14.0.1",
  "prettier": "^3.0.2",
  "styled-components": "^6.0.7",
  "vercel": "^32.1.0"
}

🫱🏻‍🫲🏿 Commit Convention & Branch Strategy & Communication Tools

Commit Convention

코드 작성 방법이 팀원들마다 상이하여 코드를 읽고 이해하는 시간이 길어져 협업 간에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따라서 Lint와 Prettier를 이용하여 같은 스타일로 작성될 수 있도록 설정했습니다.
또한, Husky와 Lint-Staged를 이용, stage 된 내용을 미리 검사하여 commit 전에 코드를 수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e.g. FEAT: 로그인 유효성 검증 기능 구현

태그 설명 (한국어로만 작성하기)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변수명 변경 포함)
FIX: 버그 해결
DESIGN: CSS 등 사용자 UI 디자인 변경
STYLE: 코드 포맷 변경, 세미 콜론 누락, 코드 수정이 없는 경우
REFACTOR: 프로덕션 코드 리팩토링
COMMENT: 필요한 주석 추가 및 변경
DOCS: 문서를 수정한 경우
CHORE: 빌드 테스크 업데이트, 패키지 매니저 설정(프로덕션 코드 변경 X)
RENAME: 파일 혹은 폴더명을 수정하거나 옮기는 작업
REMOVE: 파일을 삭제하는 작업만 수행한 경우
INIT: 초기 커밋을 진행한 경우

Branch Strategy

브랜치는 아래의 브랜치만 사용하도록 협의했습니다.

브랜치 설명
main 배포 및 최종본, 출시 버전의 브랜치
develop 개발용 버전의 기준이 되는 브랜치
feature/~ 세부 기능 개발을 위한 브랜치
refactor 리팩토링을 위한 브랜치

기타 협업 도구

팀 커뮤니케이션 툴로 팀 노션 페이지와 디스코드를 사용했습니다.
실시간으로 만나 서로의 의견을 정리, 간단한 아카이빙 하기 위해 디스코드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내용들을 다시 팀 노션 페이지에 상세히 기록하는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했습니다.

- Discord:
  실시간으로 만나 코드를 리뷰하고 Best-Practice를 선정하고 팀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컨벤션, 브랜치 전략, 네이밍 등을 논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했습니다.

- Notion:
  디스코드에서 공유된 프로젝트 진행 과정 및 팀 운영 일정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용도로 사용했습니다.

- Live Share(VS Code):
  페어 프로그래밍 및 디스코드의 화면공유와 같이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용도로 사용했습니다.

About

원티드 프리온보딩 인턴십 - 2조 3주차 과제 제출을 위한 공간입니다.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